티스토리 뷰
반응형
보안을 위해 톰캣계정을 생성하여 진행한다.
useradd tomcat passwd tomcat su tomcat톰캣 최신버전 8.0.21을 다운로드 한다. 이후 압축해제 및 다운로드 파일을 삭제한다.
cd /usr/local mkdir server cd server wget http://mirror.apache-kr.org/tomcat/tomcat-8/v8.0.21/bin/apache-tomcat-8.0.21.tar.gz tar -zxvf apache-tomcat-8.0.21.tar.gz rm apache-tomcat-8.0.21.tar.gz톰캣 설정파일을 수정한다. 대용량 파일 업로드를 위해 시간제한 해제. UTF-8 인코딩 처리.
vi tomcat/conf/server.xml
<Connector port="8080" protocol="HTTP/1.1" connectionTimeout="1200000" URIEncoding="UTF-8" disableUploadTimeout="true" redirectPort="8443" /> <connector port="8009" protocol="AJP/1.3" redirectport="8443" uriencoding="UTF-8"/>자바 경로 및 톰캣 경로를 설정한다.
vi /etc/profile
JAVA_HOME=/usr/local/java CATALINA_HOME=/usr/local/server/tomcat CLASSPATH=.:$JAVA_HOME/lib/tools.jar:$CATALINA_HOME/lib-jsp-api.jar:$CATALINA_HOME/lib/servlet-api.jar PATH=$PATH:$JAVA_HOME/bin:$CATALINA_HOME/bin export JAVA_HOME CLASSPATH PATH CATALINA_HOME서버 구동시 톰캣이 자동실행되도록 설정파일을 작성한다.
vi /etc/rc.d/init.d/tomcat
#!/bin/bash # dcription: Tomcat Start Stop Restart # processname: tomcat # chkconfig: 234 20 80 export JAVA_HOME=/usr/local/java export CATALINA_HOME=/usr/local/server/tomcat export JAVA_OPTS="-Dfile.encoding=UTF-8 \ -Dnet.sf.ehcache.skipUpdateCheck=true \ -Djava.net.preferIPv4Stack=true -Djava.net.preferIPv4Addresses -XX:+UseConcMarkSweepGC \ -XX:+CMSClassUnloadingEnabled \ -XX:+UseParNewGC \ -XX:MaxPermSize=256m \ -Xms512m -Xmx1024m" case $1 in start) sh $CATALINA_HOME/bin/startup.sh ;; stop) sh $CATALINA_HOME/bin/shutdown.sh ;; restart) sh $CATALINA_HOME/bin/shutdown.sh sh $CATALINA_HOME/bin/startup.sh ;; esac exit 0톰캣 자동실행 설정파일을 적용한다.
chmod +x /etc/init.d/tomcat chkconfig --add tomcat chkconfig --level 2345 tomcat on톰캣 폴더를 tomcat으로 심볼릭 링크처리한다.
이후 톰캣이 사용하는 8080포트를 열어 외부접속이 되도록 오픈한다.
ln -s apache-tomcat-8.0.21 tomcat vi /etc/sysconfig/iptables적당한 위치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.
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8080 -j ACCEPT
방화벽 규칙이 적용되도록 재실행한다.
이후 톰캣을 실행하고,
netstat로 8080포트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.
/etc/init.d/iptables save service iptables restart service tomcat start netstat -ntl
반응형
'Server > Cent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entOS 6.6] Node.js 설치하기 (0) | 2015.04.11 |
---|---|
[CentOS 6.6 + MySQL 5.6x] 설치하기 (0) | 2015.04.08 |
댓글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제이쿼리
- regexp
- android
- 항공편
- html
- Oracle
- Selector
- MySQL
- jsp
- create
- Next
- jquery
- javascript
- 실시간
- submit
- 인천공항
- Click
- dom
- asp
- event
- attr
- Filter
- ready
- Drop
- centOS
- If
- 비행기
- focus
- 기초
- selec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